본문 바로가기
웹진 '숨은참조'/듣는다

[듣는다] 현장인터뷰 <당신의 현장, 인터뷰> ✍ 일경

by 서울청년예술인회의 2022. 3. 11.

당신의 현장, 인터뷰

 

Interviewer _ 일경 [ 작가 _ 현장인터뷰]

Interviewee1 _ 민아 [ 기획자 _ 현장인터뷰]

Interviewee2 _ 조완 [ 싱어송라이터 _ 현장인터뷰]

 

Prolog: 현장인터뷰의 구성원으로서 팀의 누구를 인터뷰 대상으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할지를 고민했다. 적지 않은 시간 동안 봐 온 모든 동료의 소중한 이야기를 다 담고 싶었으나, 분량상 대표를 꼽지 않을 수 없었다. 이번 인터뷰는 현장인터뷰를 기획하고, 현재까지 운영에 참여한 옥민아 님과 구성원의 모든 인터뷰를 녹취록으로 풀어주시는, 현장인터뷰에는 없어서는 안 될 조완 님 두 분을 모시고 당신의 현장, 인터뷰는 무엇인지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

O 민아

W 조완

# 일경

O | 서울청년예술인회의 현장인터뷰팀에 소속되어 있으며, 글을 쓰는 작가이자 단편영화를 찍기도 하고 동시에 문화기획자로 활동하는 옥민아입니다. 공공연희라는 청년예술가 단체의 단장을 맡고 있습니다.

W  음악 하는 사람, 조완입니다. 서울청년예술인회의에서 현장인터뷰, 책자발행 팀에 소속되어 문화기획과 관련한 일도 하고 있습니다.

 

# 현장인터뷰

W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2020년 태동해서 지금까지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는데, 이 집단이 어떤 곳인지를 설명해 드려야 현장인터뷰팀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 당사자들이 모여서 어떤 새로운 형태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요즘 많이 이야기하는 거버넌스의 성격을 가졌다고 해요. 청년예술인 스스로 이것을 조직하고 구성해 보고, 서로 가진 고민과 방향성을 공유해 보자. 더불어 많은 사람에게 알려도 보자는 취지를 가진 집단이라고 알고 있어요.

모종의 기회로 저도 여기에 함께하게 되었고, 그 안에서도 가장 관심이 있던 현장인터뷰팀에 들어오게 된 것이고요. 현장인터뷰팀은 예술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물음을 던지고, 인터뷰를 해보면서, 그들이 함께 가지고 있는 고민을 발굴하고 예술인들의 거버넌스에 전달하고, 혹은 다시 예술인 각각에 발굴한 여러 이야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팀이라고 생각합니다.

 

# 현장인터뷰에 참여하게 된 계기

O  서울청년예술인회의라는 모임이 만들어지기 전에, 서울에서 활동하는 청년예술인들이 어떤 문제의식을 느끼고 활동하고 있는지, 또 현장에서 활동할 때 어떤 어려움이 있고, 그리고 무엇이 필요하며, 요즘 서울에서 활동하는 예술인의 현재는 어떠한가에 관한 연구와 조사를 하기 위한 모임이 서울문화재단 안에 있었어요. 그것이 첫 계기였어요. 그때 청년예술인 회의에 첫발을 들인 셈입니다.

저는 스스로 청년예술인인 동시에 곧 청년예술인이라는 이름표를 뗄 나이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졸업할 때쯤 되면 이 학교가 나에게 무슨 의미였나, 이런 걸 생각해 보는 것처럼, 저도 떠날 때가 되고 보니 나더러 청년예술인이라는데, 그리고 나의 청년예술인 시절은 나에게 무슨 의미였는지 스스로 갈무리해보고 싶었어요. 이러한 동기로 예술인을 인터뷰하고 책으로 엮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공공연희 구성원들과 함께요.

인터뷰라는 매개의 매력과 가능성이 참 좋아졌을 무렵, 청년예술인회의를 통해 현장인터뷰를 조직할 수 있었고, 지금까지 함께하고 있네요.

W  제 경우는, 재밌는 것이 시작과 끝의 마음가짐이 다른 것 같아요.

제가 겸업하는 일 중에, 인터뷰 녹취를 하고 원고를 정리하는 일이 있어요. 그런데 마침 타격감이랑 작년도 현장인터뷰팀의 녹취 일을 하면서 청년예술인회의를 알게 되었어요. 처음에는 이름만 어렴풋이 접하고 있다가 새로운 구성원을 모집하기 위한 설명회를 들으면서 마음이 생긴 것 같아요. 현장인터뷰라고 하니까, 질문을 던지고 받는 과정에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있을까, 개인적인 어떤 도움들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있을까 하는 마음에 시작하게 됐어요.


# 현장인터뷰팀 참여와 보람

W  보람찼다고 하면 어떤 성과에 관한 생각을 먼저 하게 되는데요,

이 팀에 참여하고 가장 크게 무언가 얻었다고 생각하는 순간 중 하나는, 제가 올해 사람을 정말 많이 못 만났어요. 코로나 시국 때문이기도 하고 조금은 심리적인 부분도 있어서, 여유가 없었다고 할까요? 새로운 사람을 만날 마음의 여력이 없는 한 해를 보냈는데 현장인터뷰팀 덕에 조금 더 사람들도 만나고 주변과 소통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1주일이든 2주일 간격으로 모여 앉아서, (줌에서지만) 얼굴 보면서 얘기하는 것으로 어떤 작은 연결이 된다는 느낌이 좋아요. 평소에 속해 있는 나의 공간에서부터의 해방도 필요하잖아요? 갇혀 버리니까요, 나 혼자만 있으면. 그런 걸 조금은 뚫고 나갈 수 있는 해방이 되지 않았나 싶은 느낌을 받아서, 그럴 때 가장 좋았습니다.

O  현장인터뷰팀 스터디원 분들 중에는 난생처음으로 누군가를 인터뷰하고, 그것을 기사화해서 일반인이 접속할 수 있는 공개된 플랫폼에 자신의 글을 올린 사람이 대부분이에요. 인터뷰를 진행하는 경험을 굉장히 재밌어하고 보람을 느끼는 모습에서 오히려 제가 보람을 느꼈어요.

그리고 올해뿐만이 아니라 작년부터 시작했던 현장인터뷰전 과정을 통해 제게 다가온 유난한 보람은 이것이에요. 인터뷰할 때마다 어렴풋이 짐작하기도 하고, 실제로 제게 직접 말씀해주신 분도 있는데요. 나의 이야기를 들어주어서 감사하다는 말을 들었을 때가 아직도 기억이 나요. 내가 하는 말을 이렇게 귀담아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굉장한 힘이 되는 것 같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 인터뷰가 기사를 읽는 사람뿐만 아니라, 인터뷰이에게도, 그러니까 인터뷰를 당하는 사람에게도 굉장한 지지 혹은 응원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그것이, 제게는 인터뷰라는 소통의 도구 자체에서 느끼는 큰 보람인 것 같아요.

 

# 2022년의 현장인터뷰

W  현장인터뷰에 참여하면서 인터뷰 작업을 직·간접적으로 많이 경험한 셈이 됐어요. 그러면서 많이 느낀 부분이, 현재 답을 내리지 않은 상태로 어떤 고민의 진행 과정에 있는 예술가들이 많다는 것이었어요.

보통은 어떤 일을 하고 있을 때 사람들이 다 어떤 기준들이 결정되어있는 상태로 그것을 진행하고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 사람 안에서도, 그 사람을 외부에서 보는 시점에서도 이런 부분이라면 결정이 된 것으로 생각하는데 질문을 던져 보면 사실 그렇지 않은 게 드러나거든요. 그런데 그 고민을 하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잖아요. 뭔가를 정하는 과정에서 고민하고 답을 내렸다가, 실패해 보고, 수정하고 하는 과정이 굉장히 중요한데 저는 이 현장인터뷰팀도 그런 과정에 있는 사람들의 모임이라고 생각하고요. 그래서 내년에도 어떤 고민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서로 얘기 나누는 모습이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O  2022년의 현장인터뷰2021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생각해요.

그런데 그게 가장 중요하고, 필요하고, 건강한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크게 변하지 않은 틀 안에서 이게 계속 이어져 나가는 것이요.

선거철만 되면, 서울시장이 바뀌거나 대통령이 바뀌는 때가 오면, 기구나 기관, 거버넌스들도 생겼다가 없어지고, 유행처럼 우후죽순 생겼다가 우르르 없어지고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원대한 얘기일 수도 있겠으나 현장인터뷰팀원들 모두 이제 청년예술가가 아닌 상태가 되어 청년예술인회의를 떠나고 새로운 사람으로 계속 채워질 때까지, 사람들이 이 현장인터뷰의 존립을 별로 궁금해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당연히 있고, 인터뷰는 늘 진행되고, 기사가 게재되는 것이 당연해지는 거겠죠. 청년예술가들의 목소리를 실어 나르는 역할로써 지금처럼 계속되었으면 좋겠어요.

저는 당사자들이 당사자를 인터뷰하고 그 글을 공유하는 플랫폼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말할 곳이 있고 들어줄 사람이 있다는 어떤 상징처럼, 계속 지금처럼 남아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에요. 2022년의 현장인터뷰팀은 올해도 작년과 같은 모습으로, 존립의 걱정 없이 당연한 모임이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