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예술(외부자료)/아카이브 리뷰6

[리뷰] 우리의 이야기가 휘발되지 않도록, 청년예술 다시 쓰기 우리의 이야기가 휘발되지 않도록, 청년예술 다시 쓰기 권수빈(문화연구자/ksubinn@hanmail.net) 5회의 청년예술 아카이브 리뷰가 끝났다. 청년예술 담론을 모아 아이브를 만들겠다는 기획은 미흡하고 설익은 채로 남았지만, 그래도 의미 있는 과정이었다고 생각하며 6개월간의 리뷰를 갈무리하고자 한다. 아카이브 리뷰를 마친 나의 소감을 적었고, 서울청년예술인회의 웹진 ‘숨은 참조’에 실린 여러 필진의 글을 마지막 읽기 대상으로 삼았다. 벗어날 수 없는 어떤 재현과 정형화의 시선들 김치를 나눠줄까. 청년예술가에 대한 글을 여는 시작으로 대체 무슨 말이냐고 하겠지만, 이 말은 내가 2년 전 청년예술가와의 인터뷰에서 들은 것이다. “예술가여서 어떻게 하냐. 김치를 좀 나눠줄까.”라는 말로 단숨에 예술가를 .. 2021. 1. 29.
[리뷰] 청년예술가, 우리의 다른 모색 청년예술가, 우리의 다른 모색 권수빈(문화연구자/ksubinn@hanmail.net) 이번 리뷰는 문화예술 관련 국가기관 및 광역 문화재단이 아닌 다른 지원 기관의 청년정책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 청년예술가들에 대한 지원 사례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그와 함께 서울문화재단의 「서울生, 쓸데없는 일을 정성스럽게 하는 사람」 인터뷰집과 서울청년예술인회의 웹진의 지난 작업들도 검토했다. 그럼으로써 청년예술가의 활동을 계속할 수 있는 ‘다른 모색’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우리의 직업-활동은 새로운 모색이 될 수 있을까 「서울生, 쓸데없는 일을 정성스럽게 하는 사람」 인터뷰집은 서울에서 살아가는 청년예술가들에게 전해진 ‘청년예술가의 방’에 대한 물음과 대답으로 구성되.. 2020. 12. 14.
[리뷰] 청년예술인과 지역이라는 생태계 만들기 [리뷰] 청년예술인과 지역이라는 생태계 만들기 권수빈(문화연구자/ksubinn@hanmil.net) 이번에는 서울을 제외한 광역 단위 지역문화재단의 청년문화예술인 지원사업을 살펴봤다. 청년예술인을 대상으로 사업을 운영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기, 인천, 부산, 제주, 대전, 대구, 광주, 울산 8곳을 구체적인 자료수집 대상으로 했다. 범위의 한계 상, 이들 재단 사업 중에서도 2020년도에 신설, 계속 운영 중인 사업 내용만을 검토했다. 지역의 문화재단들은 각각 자신이 위치하는 지역적 조건을 반영하면서 사업을 운영해왔고 나는 이 사업들을 창작지원형, 생태계지원형, 프로젝트형, 일자리창출형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청년예술인에 대한 지원은 기본적인 창작, 제작에 대한 지원형 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일자리창출형.. 2020. 11. 30.
[리뷰] '청춘'과 '사회적인 것' 사이의 청년예술가 ‘청춘’과 ‘사회적인 것’ 사이의 청년예술가 권수빈(문화연구자/ksubinn@hanmil.net) 이번 리뷰는 흔히 4대 중앙 공공 문화예술 지원기관이라 불리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아르떼), 예술경영지원센터, 지역문화진흥원에서 진행한 ‘청년예술가’ 대상의 사업을 살펴보았다. 이들 지원기관의 사업은 예술가, 행정가, 정책가들에게 국가 문화정책의 기조를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많은 경우 광역 및 기초문화재단과 기관들의 롤모델로 작동하기도 한다. 그런데 4대 기관의 최근 5년간 사업 공고, 학술 포럼, 행사 등을 살펴보며 다소 의문이었던 것은 청년예술(가)를 기표로 하는 사업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아르떼에서 2015년에 진행한 ‘청년 기획자 프로젝트’, 예술경영지.. 2020. 10. 7.
[리뷰] '청년예술-이후'를 위한 청년예술 담론 권수빈(문화연구자/ksubinn@hanmail.net) 청년예술정책의 영역이 확장되면서 포럼, 토론회, 회의 등의 이름으로 다양한 ‘자리’들이 마련되었다. 이번에는 청년예술정책의 새로운 모색을 위한 2017년 청년예술포럼에서부터 청년예술인 협치 구조를 구체화하기 위한 첫 번째 자리였던 2019년 서울청년예술인회의까지의 청년예술 담론을 톺아보았다. 자료 목록은 아래와 같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청년예술 담론의 흐름 2016년 서울예술인플랜 발표 이후 서울문화재단의 최초예술지원, 서울시의 서울청년예술단 등이 도입됨에 따라 청년예술가 지원사업의 다양한 세분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2017년 청년예술포럼에는 해당 지원사업에 직접 참여하거나 관련된 당사자로서 청년예술가들의 발언이 포함되었.. 2020. 9. 2.
[리뷰] 청년예술가 담론의 경계 넘기 권수빈(문화연구자/ksubinn@hanmail.net) 청년예술가에 관한 학술적 담론은 무엇을, 어떻게 말해왔을까? 학술 담론 안에서 청년예술가가 어떻게 주목되어왔는지 살펴보기 위해 관련 연구를 모았다. 일련의 연구물들은 청년예술정책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때문에 연구자들이 청년예술정책에 대해 고민해온 지점이 무엇인지를 염두에 두고 연구자들의 이론적,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고려하여 그들이 짚어낸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을 검토했다. 청년예술(가)의 개념과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했다. 설문조사를 실시하거나 심층면접의 방식을 활용하는 양적, 질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이 파악한 주요한 논점은 청년예술가의 위기, 즉 ‘자립’의 문제다. 청년예술가들.. 2020.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