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문화3

[논문] 청년문화예술의 공공적 역할 연구 청년문화예술의 공공적 역할 연구 저자 정민경, 남영희, 이순욱 년도 2019 학술지 청년문화예술의 공공적 역할 연구 [논문 바로가기 클릭 ☞] 1960년대 이후 청년문화는 사회변혁을 주도하는 모멘텀으로 간주되어 왔다. 정치적 부조리에 대한 저항의 거점이었던 청년문화는 오늘날 일상과 삶의 영역으로 옮겨왔으며, 예술의 공공성을 실천하는 주요한 지점이자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새로운 원동력이라는 또 다른 가치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논문에서는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실시한 부산과 제주 청년문화예술의 실태 연구를 위한 청년문화예술인 대상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이제껏 주류담론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던 청년문화예술 활동의 공공적 역할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청년문화예술은 다양한 관점을 생산하.. 2020. 8. 12.
[논문]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저자 김경례 년도 2019 학술지 인문사회 21 [논문 바로가기 클릭 ☞]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문화정책 수립의 접근 관점과 방향성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청년문제는 청년실업으로 수렴되었고 청년정책은 청년층의 고용촉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 문화예술인의 정책적 욕구를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문화적 표현과 삶의 질 증진을 목적으로 한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을제기하고 그 방향과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청년문제는 취업만이 아니라 청년세대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삶의 복합적인 문제로 접근해야 하며 청년문화정책은 청년층의 일과 생활, 여가의 균형, 문화권의 확장 및 복지 증진과 연동하여 모색되어야 한다. 정책의 실행과.. 2020. 8. 12.
[보고서] 대형 복합상업시설과의 결합을 통한 청년 문화공간의 지속성, 다양성 확보 연구자/단체명 김예람, 박재우, 이지윤 연도 2016 지원처/학술지 청년허브 - 목차 - 1. 연구개요 2. 청년문화 (1) 청년문화의 특성 (2) 청년문화의 생태계 혼란 3. 집합으로서의 공간점유 방식 (1) 경험적 측면에서의 몰링 분석 (2) 서울의 자발적인 청년문화행사 4. 새로운 공간 개념 (1) 상업시설 내 공공성 도입 (2) 기존 대형 복합상업시설의 문제 5. 대안 제시 (1) 대지 분석을 통한 대안의 형태 및 기능 설명 (2) 주요 층 도면 설명 2020.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