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예술(외부자료)/청년예술 연구15

[논문] 청년문화예술의 공공적 역할 연구 청년문화예술의 공공적 역할 연구 저자 정민경, 남영희, 이순욱 년도 2019 학술지 청년문화예술의 공공적 역할 연구 [논문 바로가기 클릭 ☞] 1960년대 이후 청년문화는 사회변혁을 주도하는 모멘텀으로 간주되어 왔다. 정치적 부조리에 대한 저항의 거점이었던 청년문화는 오늘날 일상과 삶의 영역으로 옮겨왔으며, 예술의 공공성을 실천하는 주요한 지점이자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새로운 원동력이라는 또 다른 가치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논문에서는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실시한 부산과 제주 청년문화예술의 실태 연구를 위한 청년문화예술인 대상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이제껏 주류담론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던 청년문화예술 활동의 공공적 역할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청년문화예술은 다양한 관점을 생산하.. 2020. 8. 12.
[논문]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저자 김경례 년도 2019 학술지 인문사회 21 [논문 바로가기 클릭 ☞]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문화정책 수립의 접근 관점과 방향성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청년문제는 청년실업으로 수렴되었고 청년정책은 청년층의 고용촉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 문화예술인의 정책적 욕구를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문화적 표현과 삶의 질 증진을 목적으로 한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을제기하고 그 방향과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청년문제는 취업만이 아니라 청년세대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삶의 복합적인 문제로 접근해야 하며 청년문화정책은 청년층의 일과 생활, 여가의 균형, 문화권의 확장 및 복지 증진과 연동하여 모색되어야 한다. 정책의 실행과.. 2020. 8. 12.
[논문] 청년 무용가의 창작지원사업 수혜 경험에 관한 연구: 청년 무용가에게 있어서 관객의 의미를 중심으로 청년 무용가의 창작지원사업 수혜 경험에 관한 연구: 청년 무용가에게 있어서 관객의 의미를 중심으로 저자 윤나영 년도 2018 학술지 무용역사기록학 [논문 바로가기 클릭 ☞] 본 연구는 청년 무용가의 창작지원사업 수혜 경험을 바탕으로 청년 무용가에게 있어서 관객의 의미를 드러냄으로써 그들이 처한 창작 현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년예술지원사업 수혜 경험이 있는 청년 무용가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전사한 자료에 대한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는 질적 면담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범주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년 무용가는 작품의 창작 단계에서부터 관객의 높은 기대 수준에 부합하는 가치를 공연에 담고자 한다. 둘째, 청년 무용가는 평론가를 비롯한 무용계 내부 전문가.. 2020. 8. 12.
[논문] 지역문화생태계와 청년예술가 -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을 적용한 광주 청년예술가들의 창작 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문화생태계와 청년예술가 -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을 적용한 광주 청년예술가들의 창작 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저자 김미연, 김인설 년도 2019 학술지 예술경영연구 [논문 바로가기 클릭 ☞] 이 연구는 지역문화생태계 내 청년예술가의 위치와 이들이 교류하는 생태계 내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청년예술가들의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저해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행된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중심질문은 ‘무엇이 청년예술가의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저해하고 지역의 예술현장에서 떠나게 만드는가?’로, 청년예술가들의 경험과 시각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인터뷰 자료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비로 광주에서 지원된 청년예.. 2020. 8. 12.
[논문] 청년예술가 일자리 실태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연구 청년예술가 일자리 실태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연구 연구자 김선애, 강주희 년도 2015 학술지 한국예술연구 [보고서 바로가기 클릭 ☞] 본 연구는 청년예술가들의 일자리 실태조사·분석을 통해 이들의 성공적 사회진출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청년예술가들의 일자리 실태조사를 위해 예술대학을 졸업한지 3년 이내의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공통 문항과 음악, 미술, 무용, 영상, 연극, 전통예술 등 6개 분야별 추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619명이 응답하였다. 그 결과, 청년예술가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는 것은 쉽지 않으며 전문성을 발휘할 기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적절한 처우를 받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대학의 진로교육이나 지원 제도 및 정책에 있어 개.. 2020. 8. 12.
[보고서] 청년문제에 대한 문화정책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청년문제에 대한 문화정책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자/단체 박영정(한국문화관광연구원) 년도 2015 지원처/학술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보고서 원문 보기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청년 개념 및 담론 분석 제1절 생애과정의 탈표준화와 연장된 청년기: 발달이론적 관점 제2절 청년세대론의 범람과 혼란: 세대담론의 관점 제3절 문화세대로서의 청년: 청년문화론의 관점 제3장 통계로 본 청년세대의 삶 제1절 인구통계로 본 청년의 삶 제2절 경제활동통계로 본 청년의 삶 제3절 문화예술통계로 본 청년의 삶 제4장 국내외 청년정책 현황 및 사례 분석 제1절 청년에 대한 정책적 정의: 청년정책의 다변화 필요성 제2절 정부 차원의 청년정책: 고용창출정책 중심 제3절 지자체.. 2020.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