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정책5

[읽는다] 연구릴레이|나는 청년예술인이었다 ✍ 신지연 나는 청년예술인이었다. ✍ 신지연이며 신소우주 기획자이며 창작자 지난여름 ‘청년예술을 폐기하라’라는 주제의 연구 릴레이 프로젝트에 필진으로 초대된 나는 첫 미팅에서 성연주 연구자로부터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았다. “청년예술의 사회적 정의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질문에 대한 나의 대답은 이러했다. “그걸 왜 제가 정의해야 하죠? ‘청년’예술이라는 것은 정책 안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저는 이미 정해진 기준에 따라 관련 지원사업에 참여했을 뿐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면서 ‘청년’예술에 대한 의미를 고민해보지는 않았어요. 그건 정책을 만든 사람들이나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이 하면 될 일이라고 생각해요.” 사실 나에게 ‘청년’예술은 철 지난 이야기다. 올해로 만 40세가 된 나는 문화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청년이라 .. 2020. 11. 14.
[논문]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저자 김경례 년도 2019 학술지 인문사회 21 [논문 바로가기 클릭 ☞]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문화정책 수립의 접근 관점과 방향성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청년문제는 청년실업으로 수렴되었고 청년정책은 청년층의 고용촉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 문화예술인의 정책적 욕구를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문화적 표현과 삶의 질 증진을 목적으로 한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을제기하고 그 방향과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청년문제는 취업만이 아니라 청년세대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삶의 복합적인 문제로 접근해야 하며 청년문화정책은 청년층의 일과 생활, 여가의 균형, 문화권의 확장 및 복지 증진과 연동하여 모색되어야 한다. 정책의 실행과.. 2020. 8. 12.
[보고서] 청년문제에 대한 문화정책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청년문제에 대한 문화정책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자/단체 박영정(한국문화관광연구원) 년도 2015 지원처/학술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보고서 원문 보기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청년 개념 및 담론 분석 제1절 생애과정의 탈표준화와 연장된 청년기: 발달이론적 관점 제2절 청년세대론의 범람과 혼란: 세대담론의 관점 제3절 문화세대로서의 청년: 청년문화론의 관점 제3장 통계로 본 청년세대의 삶 제1절 인구통계로 본 청년의 삶 제2절 경제활동통계로 본 청년의 삶 제3절 문화예술통계로 본 청년의 삶 제4장 국내외 청년정책 현황 및 사례 분석 제1절 청년에 대한 정책적 정의: 청년정책의 다변화 필요성 제2절 정부 차원의 청년정책: 고용창출정책 중심 제3절 지자체.. 2020. 8. 12.
[보고서] 청년의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형성 방안 연구: 성북 지역을 중심으로 청년의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형성 방안 연구: 성북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자/단체명 문화사회연구소, 협동조합성북신나 년도 2015 지원처/학술지 청년허브 보고서 원문 보기 ▼ - 목차 - 1. 연구 개요 2. 청년 정책의 주요 현황과 쟁점들: 청년 일자리 및 공간 정책을 중심으로 3. 성북지역의 기존 연구 검토: 문화, 사회 커뮤니티 환경을 중심으로 4. 청년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와 공간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5. 청년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와 공간 활용에 대한 인터뷰 결과 6. 결론: 청년의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지원 정책 방안 6. 부록 2020. 8. 11.
[보고서] 예술인 지원의 사각지대 극복을 위한 대안적 창작공간 공급모델 연구 예술인 지원의 사각지대 극복을 위한 대안적 창작공간 공급모델 연구 연구단체/저자 백지연, 김소령, 최윤하 연도 2016 지원처/학술지 청년허브 보고서 원문 읽기 ▼ 1. 문제의식 2. 대안공간 프로젝트 3. 전문가 인터뷰, 발견한 새로운 실정과 한계 4. 대안 설계 5. 요약 및 결론 2020.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