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 지원의 사각지대 극복을 위한 대안적 창작공간 공급모델 연구
연구단체/저자 | 백지연, 김소령, 최윤하 |
연도 | 2016 |
지원처/학술지 | 청년허브 |
보고서 원문 읽기 ▼
2016_공모연구_대안적창작공간공급모델.pdf
3.67MB
1. 문제의식
2. 대안공간 프로젝트
3. 전문가 인터뷰, 발견한 새로운 실정과 한계
4. 대안 설계
5. 요약 및 결론
'청년+예술(외부자료) > 청년예술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고서] 청년의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형성 방안 연구: 성북 지역을 중심으로 (0) | 2020.08.11 |
---|---|
[보고서] 청년예술가-창업가들의 골목길 고군분투기 (0) | 2020.08.11 |
[보고서] 젊은 시각 예술가들의 현재는 지속 가능한가: 생산자와 소비자, 그리고 제도적 측면에서 (0) | 2020.08.11 |
[보고서] 대형 복합상업시설과의 결합을 통한 청년 문화공간의 지속성, 다양성 확보 (0) | 2020.08.11 |
[보고서] 청년창작자들이 만드는 도시형 장터의 양적, 질적 현황조사 (0) | 2020.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