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진 '숨은참조'/말한다

[말한다] 미래를 여는 예술문|반짝이지 않는 돌에게 들려주는 다섯 번째 이야기: 창조

by 서울청년예술인회의 2023. 3. 3.

반짝이지 않는 돌에게 들려주는 다섯 번째 이야기: 창조

 

에트스코타이트 (최추영)

 

<미래를 여는 예술문>(이하 예술문)은 ‘예술노동’, 우리의 ‘일’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근로기준법에 부합하지 않는 예술노동’이라는 단조로운 논의를 재구성하고, 예술노동 내부의 사이와 틈새를 구성하는 모호한 지점을 검토하여, 협소한 범주의 ‘예술노동’을 넘어서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창작자/창작자 범주에 속하지 않은 예술계 노동자/근로자 등으로 중첩되는 정체성과 모호한 경계를 비춰주는 5인의 인터뷰를 구성하였습니다. 이들이 말하는 ‘예술노동’을 수집하면서, 혼자서는 이뤄낼 수 없는 결과와, 협력과 협업으로 이루어진 생산 과정에서 작은 범주의 예술노동을 비껴가는 실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5인이 들려주는 어긋남과 모호함을 팟캐스트로 담아냈습니다.
 
이러한 우리의 이야기를 통해 예술문은 당신 안의 반짝이지 않는 돌을 발견하고자 합니다. ‘나만의 돌찾기’는 잠들어 있는, 당신 안의 반짝이지 않는 돌을 (다시) 반짝이도록 도와주는 웹 기반의 가이드이자 또 다른 원석들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입니다. 연결된 원석들은 당신 안의 반짝이는 돌을 설명해주는 또 다른 가이드이자, 예술노동의 울타리 안에서 함께하는 동료이자 친구입니다. 우리의 일은 결코 혼자 할 수 없기에 서로가 서로의 현장이 되어줍니다.

 

https://artgatefrom.me/

 

에트스코타이트는 진정한 자유를 바탕으로 활기와 낙관을 펼칠 창조를 담고 있습니다. 당신의 마음속에는 에트스코타이트이 반짝이고 있습니다.

 

당신과 같은 에트스코타이트의 창조를 지닌 이야기의 주인공은 최추영 작가입니다. 추영 작가님은 소설가이자 AI 관련 회사에 다니는 근로자입니다. 회사의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면서도 창작자로서의 본업을 놓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답니다. 예술문은 근로자와 창작의 사이에서, 근로자의 노동성과 예술노동의 노동성은 어떠한 간극과 차이가 있을지, 추영님의 내밀한 이야기를 통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습니다. 근로자로서의 시간을 보낸 후, 소설쓰기를 시작하는 추영 작가님의 시선에서 예술노동은 어떠한 풍경으로 보여질지 함께 들여다보아요.

 

진행자: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추영: 저는 소설을 쓰고 있는 최추영이고요. 제가 무서워하는 것에 대해서 쓰고 있어서 스스로 공포 소설을 쓴다고 하고 있고, 2020년부터는 미디어아트를 하는 익수케 작가님이랑 함께 장소통역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작년(2022년)엔 개인보다는 장소 통역사로 더 많은 활동을 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전시 쪽에서 많이 작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갑작스럽게 작년 여름부터 회사를 다니게 되어서, 회사와 작업과 팀 활동을 병행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제가 필명이 최추영이고 본명은 최수영이라서 회사에서는 수영 씨이고 익수케한테는 추영이입니다. 그래서 익수케한테 '수영이 퇴근하고 추영이 출근한다' 이러면서 6시에 퇴근하고 나면 그때부터 기획서 작업이나 전시 작업, 아니면 최추영으로서 의뢰받은 일들을 해나갑니다.

진행자: 창작 활동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분들도 많지만, 제 주변에 창작활동과 소속된 근로자로서 근무하는 감각을 동시에 지닌 분이 많지는 않아요. 그래서 예술 노동과 그 외 노동을 했을 때 다른 감각으로 느끼시는지 혹은 간극이 있다고 느끼시는지 아니면 같다고 느끼시는지 고견을 나눠보고자 했습니다.

추영: 제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아르바이트랑 다를까라는 생각도 한편으로 했었던 것 같아요. 재택이기도 하고 사무실도 왔다 갔다 해서요. 물론 아르바이트를 했을 때처럼 단순노동보다는 어떤 책임을 지는 자리에서 계속 얘기를 하고, 회의록을 작성하니까 조금 다른가 라고 생각을 했는데, 예술 노동이랑 다른 거는 크게는 두 가지밖에 생각이 안 났던 것 같아요. 하나는 퇴근이고요. 다른 하나는 고정 수익. 고정 수익은 돈 단위 차이가 크니까요. 아르바이트는 사실은 여러 개를 병행해야지 얻을 수 있는 금액을 회사에 다니면서는 (한 번에) 얻을 수 있었어요. 다른 한편, 출판사를 다닐 때에는, 아버지가 출판사를 운영하기도 했고, 글을 쓰는 관련 업무이니까 애매하게 제가 활자를 쓸 수 있는 능력치를 다 깎아 먹는 느낌을 많이 받았었어요.

진행자: 현재 회사에서 하고 계신 일에 대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추영: AI 번역이랑 데이터 구축 관련 회사입니다. AI가 말하게 하려면 데이터가 엄청나게 필요한데, 처음에는 데이터 축적을 위해 대답하는 대본 써주는 알바를 했어요. 시작할 때는 알바몬을 통해서서 일을 하게 됐는데, 1년 뒤에 대표님한테 연락이 오면서 지금까지 일을 하게 되었죠. 어쨌든 처음에는,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돌아다니는 방문객 응대 로봇의 대화구축 업무를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로봇이 "무슨 일로 오셨나요?"라고 물으면 "나 오늘 면접 보러 왔어." 이 대답에 대한 말투를 여러 가지로 만들어 주는 업무였고, 여러 미션을 부여받았는데, 10개 미션을 하나의 세트로 해서 세트당 급여를 받았었어요. 또, 데이터 구축을 위해선 일반 대화에 태깅 작업을 거쳐야 하는데, 그러한 업무도 하였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영상 콘텐츠를 번역하고 더빙하여 수출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AI 영상번역 학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년 전 처음 회사와 인연을 맺었던 때와는 달리, 현재는 데이터를 정제·정리·관리하는 PM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진행자: 다시, 노동에 대한 구체적인 얘기를 들을 수 있을까요? 추영님이 느끼셨을 때의 예술노동과 그 외 노동 사이의 간극을요. 아니면 다 똑같은 노동인지. 때때로는 두 노동 간의 차이가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추영: 저한테 예술노동은 삶에는 쓸모가 없는. 쓸모는 없는데 내가 하고 싶다. 그 외 노동은 결과값이 정확해요. 예술 노동은 결과 값이 없을 수도 있고, 있을 수도 있고, 이상할 수도 있다는 차이가 되게 큰 것 같아요. 그게 저에게는 제일 정확한 간극으로 느껴져요.

익수케 작가와 작업을 하면서 가끔씩 내가 왜 소설을 쓰는지에 대해서 명확히 느껴질 때가 있어요. 글이라는 것에 별로 관심이 있던 친구가 아닌데 저랑 작업을 하면서 어느 순간에 제 글을 읽으며 울고 있는 거예요. 그러고 나서 '왜 얘가 변한 걸까 아니면 내가 변한 걸까'라는 생각도 하고 '나에게 있어 글쓰기란 무엇일까'라고 생각이 들었죠. 익수케에게 편지를 쓰다가 그런 말을 쓴 적이 있어요. "나는 '말하는 나'와 '글을 쓰는 나'가 두 명으로 존재해. '글을 쓰는 나'는 나 역시도 글을 쓸 때만 만날 수 있는데, 네가 내 글을 읽고 우는 이유는 나조차도 자주 만나지 못하는 ‘글 쓰는 나’를 네가 만났기 때문이야. 그래서 나는 너랑 작업할 때 언제나 네가 내 작업에 울어주는 부분에서 감동을 느끼고, 거기서 힘을 얻고 작업을 하게 돼"라고 하는데 이거는 어떤것으로도 치환될 수 없는 감각인 거잖아요. 그래서 글을 쓸 때의 저를 아는 사람을 만나면, 속절 없이 그 사람을 영원히 옆에 두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글을 쓰면서 만난 사람들이 나에게 주는 힘은 경제 활동으로는 전혀 치환될 수 없는 무언가이기도 하고, 저의 어떤 시절이기도 해요.

진행자: 일반적인 노동의 시간과 예술노동의 시간 사이에서 균형 감각을 맞추는 노하우가 있으신가요?

추영: (중략) 예술노동이 저는 더 어렵거든요. 그 외 노동은 좀 명료한 것 같아요. 그냥 하면 하는 거고 할 수 없으면 안 하는 거고. 예술노동 바깥의 노동은 나의 모든 근간을 흔들거나 바꿀 수는 없는 존재지만, 예술노동은 어떻게 보면 나의 근간을 바꿀 수도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예술노동을 거절하는 일이 더 어려운 것 같아요. 예를 들어서 어떤 작가님이 서문을 써달라고 하는데, 어쩔 땐 거절하기 너무 어려울 때도 있고요. 그런데 막상 하려고 하니까  생각했던 거랑 달라서 어려운 경우도 있는 것 같아요. 제가 가끔씩 조언을 듣는 분이 있는데, 그분이 “그냥 그럴 때는 금액을 무조건 올려보는 게 나을 수도 있다”고 하시더라고요. 네가 기분 나쁘지 않을 금액, 네가 나중에 다른 말 안 할 수 있는 금액을 제시하고 그래도 안 되는 거면 문제가 안 발생하는데, 너도 애매하게 돈을 덜 받고 마음을 쓰고, 그 사람은 돈을 줬는데 네가 마음을 덜 쓰는 것 같으면 언제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니까 아예 금액을 올려버리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 근데 여기는 또 적정 금액이라는 게 없잖아요. 언제나 마음의 금액과 적정 금액이 합쳐진 것이 총량이 되니까. 그래서 그게 여전히 어려워서 좀 더 고민을 하고 있어요. 언제나 예술노동에선,  특히 의뢰를 받아서 할 때는 시작점이 그건 것 같아요.

(생략)

“창작자와 근로자. 두 가지 정체성을 모두 지닌 사람은 어떠한 감각으로 예술노동을 바라보고 있을까.”라는 질문이 발단이 되어 장소통역사의 최추영 작가님을 예술문 ‘예술노동 팟캐스트’ 시리즈의 마지막, 다섯번째 인터뷰이로 초대하였습니다. 최추영 작가님과 함께 하며, 동시대 청년예술인들의 현실적인 삶과, 우리는 왜 예술노동을 하는가를 다시 한번 되돌아 볼 수 있었습니다. 경제적인 삶에 쓸모가 없다는 것을 자명하게 알고 있음에도, 우리는 왜 각자의 이유로 예술노동을 지속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작가님의 솔직한 답변으로 예술과 예술노동에 대해서 삶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답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녀와 함께한 시간은 반짝였습니다. 본 글에는 다 실리지 못한, 유쾌한 최추영 작가님과 예술문의 자세한 대화가 궁금하다면 - 링크 접속해주세요!

팟캐스트로 듣기

 

미래를 여는 예술문(2022)

인터뷰이: 최추영(최수영) in 장소통역사

인터뷰어 및 글: 강정아, 최은영

웹 기획: 박선영, 우희서, 전보람

웹 개발: 우희서, 최진저(최진저 오피스)

녹음 편집: 이강호, 최은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