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예술가10

[리뷰] '청년예술-이후'를 위한 청년예술 담론 권수빈(문화연구자/ksubinn@hanmail.net) 청년예술정책의 영역이 확장되면서 포럼, 토론회, 회의 등의 이름으로 다양한 ‘자리’들이 마련되었다. 이번에는 청년예술정책의 새로운 모색을 위한 2017년 청년예술포럼에서부터 청년예술인 협치 구조를 구체화하기 위한 첫 번째 자리였던 2019년 서울청년예술인회의까지의 청년예술 담론을 톺아보았다. 자료 목록은 아래와 같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청년예술 담론의 흐름 2016년 서울예술인플랜 발표 이후 서울문화재단의 최초예술지원, 서울시의 서울청년예술단 등이 도입됨에 따라 청년예술가 지원사업의 다양한 세분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2017년 청년예술포럼에는 해당 지원사업에 직접 참여하거나 관련된 당사자로서 청년예술가들의 발언이 포함되었.. 2020. 9. 2.
[논문] 지역문화생태계와 청년예술가 -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을 적용한 광주 청년예술가들의 창작 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문화생태계와 청년예술가 -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을 적용한 광주 청년예술가들의 창작 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저자 김미연, 김인설 년도 2019 학술지 예술경영연구 [논문 바로가기 클릭 ☞] 이 연구는 지역문화생태계 내 청년예술가의 위치와 이들이 교류하는 생태계 내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청년예술가들의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저해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행된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중심질문은 ‘무엇이 청년예술가의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저해하고 지역의 예술현장에서 떠나게 만드는가?’로, 청년예술가들의 경험과 시각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인터뷰 자료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비로 광주에서 지원된 청년예.. 2020. 8. 12.
[논문] 청년예술가 일자리 실태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연구 청년예술가 일자리 실태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연구 연구자 김선애, 강주희 년도 2015 학술지 한국예술연구 [보고서 바로가기 클릭 ☞] 본 연구는 청년예술가들의 일자리 실태조사·분석을 통해 이들의 성공적 사회진출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청년예술가들의 일자리 실태조사를 위해 예술대학을 졸업한지 3년 이내의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공통 문항과 음악, 미술, 무용, 영상, 연극, 전통예술 등 6개 분야별 추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619명이 응답하였다. 그 결과, 청년예술가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는 것은 쉽지 않으며 전문성을 발휘할 기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적절한 처우를 받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대학의 진로교육이나 지원 제도 및 정책에 있어 개.. 2020. 8. 12.
[리뷰] 청년예술가 담론의 경계 넘기 권수빈(문화연구자/ksubinn@hanmail.net) 청년예술가에 관한 학술적 담론은 무엇을, 어떻게 말해왔을까? 학술 담론 안에서 청년예술가가 어떻게 주목되어왔는지 살펴보기 위해 관련 연구를 모았다. 일련의 연구물들은 청년예술정책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때문에 연구자들이 청년예술정책에 대해 고민해온 지점이 무엇인지를 염두에 두고 연구자들의 이론적,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고려하여 그들이 짚어낸 정책의 문제점과 대안을 검토했다. 청년예술(가)의 개념과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했다. 설문조사를 실시하거나 심층면접의 방식을 활용하는 양적, 질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이 파악한 주요한 논점은 청년예술가의 위기, 즉 ‘자립’의 문제다. 청년예술가들.. 2020.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