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청년예술인회의185

[보고서] 청년 퀴어 예술가의 생존과 활동의 지속가능성 청년 퀴어 예술가의 생존과 활동의 지속가능성 연구자/단체명 퀴즈(q's) 년도 2017 지원처/학술지 청년허브 보고서 원문 보기 ▼ - 목차 - I. 서론 II. 본론: 청년 퀴어 예술가 인터뷰 분석 1. 각 심화 인터뷰 대상자들의 특이점과 공통점 2. 퀴어 정체성에 따른 고민 3. 삶과 작업의 연관성 및 비평의 한계 III. 결론 2020. 8. 11.
[보고서] 청년의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형성 방안 연구: 성북 지역을 중심으로 청년의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형성 방안 연구: 성북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자/단체명 문화사회연구소, 협동조합성북신나 년도 2015 지원처/학술지 청년허브 보고서 원문 보기 ▼ - 목차 - 1. 연구 개요 2. 청년 정책의 주요 현황과 쟁점들: 청년 일자리 및 공간 정책을 중심으로 3. 성북지역의 기존 연구 검토: 문화, 사회 커뮤니티 환경을 중심으로 4. 청년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와 공간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5. 청년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와 공간 활용에 대한 인터뷰 결과 6. 결론: 청년의 문화, 사회 커뮤니티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공간 지원 정책 방안 6. 부록 2020. 8. 11.
[보고서] 청년예술가-창업가들의 골목길 고군분투기 청년예술가-창업가들의 골목길 고군분투기 연구자/단체명 문화기획집단 영희야놀자 년도 2014 지원처/학술지 청년허브 보고서 원문 읽기 ▼ 1. 청년, 골목길 고군분투기 2. 이태원, 부상하는 골목길 3. 골목의 청년들, 누가 왜 골목을 찾았나 4. 골목의 청년들, 마을을 꿈꾸다 5. 골목의 청년들, 위기에 봉착하다 6. 청년과 마을,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까? 2020. 8. 11.
[보고서] 예술인 지원의 사각지대 극복을 위한 대안적 창작공간 공급모델 연구 예술인 지원의 사각지대 극복을 위한 대안적 창작공간 공급모델 연구 연구단체/저자 백지연, 김소령, 최윤하 연도 2016 지원처/학술지 청년허브 보고서 원문 읽기 ▼ 1. 문제의식 2. 대안공간 프로젝트 3. 전문가 인터뷰, 발견한 새로운 실정과 한계 4. 대안 설계 5. 요약 및 결론 2020. 8. 11.
[보고서] 젊은 시각 예술가들의 현재는 지속 가능한가: 생산자와 소비자, 그리고 제도적 측면에서 연구자/단체명 아트바바_장동녁 김유정 연도 2015 지원처/학술지 청년허브 - 목차 - I. 연구 개요 II. 예술 공간으로서의 신생 공간 1. 신생 공간의 발생 배경 2. 대안 공간과 신생 공간의 차이 3. 신생 공간은 지속가능한가? III. 젊은 시각 예술가들의 현재 1. 젊은 시각 예술가들은 예술로 살아갈 수 있을까? 2. 표준계약서와 작가보수제도 3. 시각 예술가에 대한 지원 제도 IV. 시각예술에 관한 청년들의 인식 조사 V. 결론 2020. 8. 11.
[보고서] 대형 복합상업시설과의 결합을 통한 청년 문화공간의 지속성, 다양성 확보 연구자/단체명 김예람, 박재우, 이지윤 연도 2016 지원처/학술지 청년허브 - 목차 - 1. 연구개요 2. 청년문화 (1) 청년문화의 특성 (2) 청년문화의 생태계 혼란 3. 집합으로서의 공간점유 방식 (1) 경험적 측면에서의 몰링 분석 (2) 서울의 자발적인 청년문화행사 4. 새로운 공간 개념 (1) 상업시설 내 공공성 도입 (2) 기존 대형 복합상업시설의 문제 5. 대안 제시 (1) 대지 분석을 통한 대안의 형태 및 기능 설명 (2) 주요 층 도면 설명 2020.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