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청년예술인회의
서울청년예술인회의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이름을 듣고, 동료를 말하고, 청년예술인들을 잇는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이름을 듣고, 욕망을 말하고, 수면 시간을 지켜준다/보장한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공통으로 감각하지만 발화되지 않는 고민들 을 듣고, 생존하는 과정을 말하고, 안정된 감각을 만들어 간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직접 발화를 듣고, 현재를 말하고, 다음을 그린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욕망 을 듣고, 필요 를 말하고, 곤란 을 지지 한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빈틈 을 듣고, 공통의 감각을 말하고, 함께 우리의 미래를 결정한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이름을 듣고, 흩어진 목소리를 모아 말하고, 안부를 묻는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동료들을 부르고, 이들의 이름을 호명하고 불안을 경청하며 서로를 잇는다. 그렇게 모인 ( )을 통해 더 나은 앞날을 만든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신념 을 듣고, 힘을 말하고, 약간의 유머가 통하는 상황을 원한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흩어진 이름을 듣고, 말하지 못했던 삼켜버린 목소리들을 말하고, 끊어질 매듭을 다시 묶는 역할을 한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불리지 않았던)이름을 듣고, (다양한 모습을 가지면서도 공통의 경험)을 가진 동료들과 (함께) 말하고, 서로를 이어서 더 나은 삶을 함께 그린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사람을 듣고, 사람을 말하고, 시간을 함께한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한숨을 듣고, 지금의 너와나를 말하고, 이런저런 꿈을 꾼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고민을 진지하고 소중하게 듣고, 용기있게 말하고, 변화를 추구한다.
-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청년예술인의 (이제껏 호명되지 않은) 이름을 듣고, (곁에 있는) 동료를 말하고, 이들을 서로 잇는다.
서울청년예술인회의는 예술현장의 다양한 목소리, 요구, 문제 등을 수렴하고 정책과 행정에 제안하여 폭 넓게 반영하기 위한 거버넌스 플랫폼으로, 본 서울청년예술인회의 활동을 통해 예술인의 활동환경 개선 등 더 나은 예술생태계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활동
1. 현장 중심의 담론형성 프로그램 운영
라운드테이블, 인터뷰, 토크 프로그램 등 상시 기획 및 운영
2. 웹진 [숨은참조] 발행
현장 프로그램 및 연구를 바탕으로 청년예술 관련 격월 발행
- 말한다 : 담론발화 테이블 기획기사 (라운드테이블, 미니포럼, 외부칼럼 등)
- 듣는다 : 담론형성 인터뷰 기획기사 (현장인터뷰, 잡담회 등)
- 읽는다 : 분석형/아카이빙형 기사 (연구릴레이, 아카이빙)
3. 포럼 '서울청년예술인회의', '숨은참조 오픈토크' 개최
청년예술 관련 담론형성 및 정책제안을 위한 포럼 및 연계 프로그램 운영
활동 과정
2019. 06 | 서울시 청년예술지원제도 개선을 위해 서울문화재단과 서울연구원이 공동 진행한 연구(서울시 청년예술인 실태 조사 및 지원혁신방안 연구)에 참여했던 청년들을 중심으로 청년예술정책 관련 협치 구조를 모색하고자 공식활동 시작
2019. 09 | <서울 청년예술인 정책 포럼> 개최 (서울문화재단, 서울연구원 공동주관)
2019. 10 | <제1회 서울청년예술인회의 : 1인칭 주인공 시점> 개최(서울문화재단, 서울연구원 공동주관)
2019. 11 | '서울청년예술인회의' 운영단으로 활동명 변경
2020. 04 | 서울청년예술인회의 운영단 공식활동 시작
2020. 06 | 기획사업(포스트예술대학, 현장인터뷰, 타격감, 미래를 여는 예술문, 연구릴레이) 운영
2020. 08 | 웹플랫폼-웹진 <숨은참조> 운영
2020. 12 | 20년 결과자료집「숨은참조 : 청년-예술인」발행
2021. 03 | 신규 구성원 모집을 위한 <숨은참조 오픈토크> 1,2차 개최
2021. 04~07 | 기획사업별 스터디그룹 운영
2021. 09 | 서울청년예술인회의 2기 구성원 구성
2021. 12 | 21년 결과자료집「숨은참조 : 발신자 추가」발행
2022. 04 |활동 공유회 <숨은참조 오픈토크 : 수신자 찾기> 개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