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저자 | 김경례 |
년도 | 2019 |
학술지 | 인문사회 21 |
[논문 바로가기 클릭 ☞]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문화정책 수립의 접근 관점과 방향성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청년문제는 청년실업으로 수렴되었고 청년정책은 청년층의 고용촉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글은 전남지역 청년, 문화예술인의 정책적 욕구를 바탕으로 청년세대의 문화적 표현과 삶의 질 증진을 목적으로 한 청년문화정책의 필요성을제기하고 그 방향과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청년문제는 취업만이 아니라 청년세대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삶의 복합적인 문제로 접근해야 하며 청년문화정책은 청년층의 일과 생활, 여가의 균형, 문화권의 확장 및 복지 증진과 연동하여 모색되어야 한다. 정책의 실행과정은 청년들을 정책적 대상이 아니라 정책의 기획 및 참여주체로 상정하고 정책 공급 구조를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개별 청년에서 커뮤니티 구성활동 지원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들의 자유로운 문화 및 사회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공간, 정보, 자원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하며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 행정혁신이 필요하다.
'청년+예술(외부자료) > 청년예술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청년문화예술의 공공적 역할 연구 (0) | 2020.08.12 |
---|---|
[논문] 청년 무용가의 창작지원사업 수혜 경험에 관한 연구: 청년 무용가에게 있어서 관객의 의미를 중심으로 (0) | 2020.08.12 |
[논문] 지역문화생태계와 청년예술가 -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을 적용한 광주 청년예술가들의 창작 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0) | 2020.08.12 |
[논문] 청년예술가 일자리 실태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연구 (0) | 2020.08.12 |
[보고서] 청년문제에 대한 문화정책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0) | 2020.08.12 |
댓글